혈중 백혈구 수치가 정상 수치 이하로 감소하면 백혈구 감소증이라 한다. 백혈구가 감소하면 면역이 떨어진 상태로 각종 질병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백혈구 수치를 높이고자 노력을 해야 하는데, 정확한 백혈구 감소증과 백혈구 수치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자.
1. 백혈구 감소증
1)정의
혈중 백혈구 수치가 정상 수치(혈액 1ml 당 4,000~10,000ro) 이하로 감소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백혈구는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와 같은 과립구와 림프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백혈구에서 호중구의 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백혈구 감소증은 대개 호중구 감소증으로 나타난다.
정의상 전체 백혈구가 감소되어 있는 것은 백혈구 감소증이라 부르고, 과립구가 감소되어 있는 것은 과립구 감소증이다. 이중 대부분이 호중구가 감소되어 있는 호중구 감소증이고, 한편 림프구가 감소되어 있는 것은 림프구 감소증이라 한다. 특히 과립구가 전혀 없는 심한 백혈구 감소증의 상태를 무과립구증이라고 말한다.
백혈구는 혈액 내에서 개수로 따지면 피의 붉은 색을 띠게 하는 성분인 적혈구에 비하면 굉장히 적은 수이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이 외부에서 침입하는 미생물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중 비특이적 면역에 작용하는 것이 호중구이고, 획득성 면역에 주로 작용하는 것이 림프구이다.
2)원인
감염이나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3)관련 질병
감염, 약물, 자가면역질환, 골수질환, 비장종대, 선천성 호중구 감소증, 영아 무과립구증, 체디악 히가시 증후군, 세망 이생성증, 당원 축적질환, 세균감염, 바이러스감염, 기생충감염, B형 간염,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 감염, 후천성 면역 결핍 바이러스감염, 수혈, 동종 면역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 만성 특발성 호중구 감소증, 진성 백혈구 무형성증, 페티 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 웨게너씨 육아종,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비장종대, 재생 불량성 빈혈, 골수이형성증, 빈혈, 혈소판 감소증
4)치료: 백혈구 감소증은 다양한 질환과 원인에 의해 생기는 증상이므로, 원인을 찾아 그에 알맞은 치료를 하는 것이 궁극적인 치료 방침이다. 호중구 개수를 감안하여 백혀룩 감소증이 심한 정도, 백혈구 감소로 인한 면역 저하 상태의 중증도, 그리고 그 때문에 생긴 감염에 대해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접근법이다.
감염에 대한 치료는 항생제를 이용하여 시행한다. 항생제로 잘 치료되지 않거나, 심각한 감염증이 반복적으로 생기거나, 또는 심각한 선천성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소아 환자인 경우에는 백혈구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과립구 세포군 촉진인자를 투여한다.
2. 백혈구 수치 높이려면
1)충분한 숙면(7시간 이상)
가장 좋은 방법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 그리고 영양섭취다.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고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 역시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니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2)백혈구 수치 높이는 음식
면역을 강화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늘리고 저지방 단백질 등 골고루 먹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엽산과 비타민 B6 및 B12, 비타민A, C, E, 아연은 체내 백혈구 생성을 도와준다.
* 비타민 A(베타카로틴): 당근, 호박, 스쿼시, 고구마, 살구, 망고 등
* 비타민 B6 및 B12: 해바라기씨, 닭고기, 칠면조 견과류, 아보카도, 시금치, 바나나
* 비타민 C: 감귤류, 딸기, 피망, 잎채소 등
* 비타민 E: 견과류, 씨앗, 시금치, 브로콜리 등
* 아연: 조개류, 살코기, 콩류, 씨앗 등
* 셀레늄: 브라질 견과류, 해산물, 통곡물 등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와 PET CT, MRI의 차이점 (0) | 2024.01.18 |
---|---|
유방암 복원 수술의 종류와 장단점, 유방복원 (0) | 2024.01.11 |
염증에 좋은 음식, 염증수치를 낮추는 음식 (2) | 2024.01.06 |
염증수치(CRP, ESR, WBC)와 정상범위 (1) | 2024.01.06 |
종양표지자(tumor marker, 암표지자) 검사 개념정리와 정상수치 (2) | 2024.01.04 |